11/15 DHCP
DHCP 211.183.3.67 /24 211.183.3.2
Xshell 들어가서 왼쪽 모든세션에서 default 복사하고 그냥 붙여넣기해서 새로만들고 설정 등록정보에서 host 주소만 바꾸면 됨
yum search dhcp (dhcp 설치 가능한게 있는지 확인가능) yum list installed (설치된거 볼 수 있다) yum remove xxx (xxx패키지를 지운다)
yum install -y dhcp (dhcp 패키지 다운 및 의존성걸린것두 같이 다 다운)
systemctl status dhcpd 눌러보면 죽어있는 상태인데...
vi /etc/dhcp/ (패키지 다운받운거니까 /etc에 있을거고 /dhcp일거고 그다음엔 /dhcpd 쳐보고 탭도 눌러보고해서 찾아보기! vi /etc/dhcp/dhcpd.conf 엔터 눌러보기 #은 주석처리가된거
/usr/share/doc/dhcp/dhcpd.conf.example 여기서 은 버전별로 다르니까 알아서 찾아봐라
[복사 ctrl + insert] [붙여넣기 shift + shift]
vi /usr/share/doc/dhcp-4.2.5/dhcpd.conf.example 엔터해보고 들어가기
default-lease-time 600; 600초 마다 갱신
max-lease-time 7200; 7200초 이후론 초기화
:set nu 해보고 번호로 보기 :47 번 참고 255.255 subnet 10.254.239.0 netmask 255.255.255.224 { range 10.254.239.10 10.254.239.20; option routers rtr-239-0-1.example.org, rtr-239-0-2.example.org; } 이런식으로 구성한다
다시 나와서 man dhcpd.conf (메뉴얼 확인)
vi /etc/dhcp/dhcpd.conf 엔터 명령모드에서 dd 연타해서 지우기
subnet 211.183.3.0 netmask 255.255.255.0 {
#GW option routers 211.183.3.2;
#SM option subnet-mask 255.255.255.0;
#범위 range 211.183.3.100 211.183.3.200;
#DNS option domain-name-servers 8.8.8.8;
#시간 default-lease-time 6000; max-lease-time 30000; } :wq
설정했으면 항상 리스타트해서 반영해라 systemctl restart dhcpd systemctl enable dhcpd 서버 재시작해도 잘 작동하게 미리 eanble해놓기
journalctl -ex 틀린거 확인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