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etwork Adapter 설정에서 NAT 211.183.3.0 /24 이걸 이제 공인대역 사용할거. PAT가 되는 (인터넷이 가능한 네트워크) HOST-Only 구간 (폐쇄된 네트워크) Bridged network : 현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다는 느낌 근데 실제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에 연결한건 아님 Disc Provision 방식

thin = 실제로 사용한 만큼만 host disc에서 점유

fat = 그냥 사전에 미리 할당을 함 USB, Sound, Print 설정에서 지우기 (필요 없으니까) CD/DVD ,Netwrok설정에서 connected 꺼져 있음 전원 꺼져 있음 가상의 DVD롬에 cent os가 실행되고 있는 것 Ctrl + Alt 누르면 밖으로 마우스 빠져나옴 전체 설정 Edit- virtual network editor 설정에서 System- Installation destination 여기 들어가서 디스크 클릭했다 다시 하면 빨간 경고문 사라짐 Network & Host name 에서 Ethernet (en32)여기 똑딱이 버튼 On 눌러서 자동으로 받아오기 바깥 전체 설정 Edit- Virtual Network Editor


NAT 대역대 - 1개 Host-Only - 여러 개 가능 Add Network 누르기 Vmnet1 - 192.168.10.0 SM 255.255.255.0 Use Local DHCP ... 버튼 해제하기 NAT - 211.183.3.0 (공인 아이피 대역대) Vmnet2 - 192.168.20.0 Vmnet3 - 192.168.30.0 Vmnet4- 192.168.40.0 이렇게 설정하고 컴퓨터 네트워크 설정에서 ip 확인해보면 Vmnet1에 컴퓨터가 192.168.10.1 ip 할당됨 저기 내부 NAT에 들어갈 수 있다. 반대로 Vmnet1에서 우리 컴퓨터 Host로 접속은 못함 개구멍이라 생각하면됨! (빠르게 기능 테스트를 할 수 있어서 유용함)


Cloud | ====Router ==여기서 내 외부 나눠짐 ↓내부 |211.183.3.2 (Gateway) SW -----== VMent8 (NAT) | PC Host 211.183.3.1 ★.1 이랑 .2는 어지간하면 쓰지 말자!


Network & HostName 설정에서 ip configure IPv4 사용 - Manual로 변경 Add눌러서 - 211.183.3.80 (NAT 대역 안에 소속되어 있어야함) Netmask - 24 / Gateway 211.183.3.2 DNS servers = 8.8.8.8 그리고 설정 다하고 항상 똑딲이 ON 확인!! ★ Root password - 항상 test123 !!!!!!!! 아이디 user1 비번 user1

Xshell을 통해서 개구멍 .1 통해서 NAT 접근! Xshell 모든 세션 우클릭 새 세션 호스트 서버 211.183.3.80 사용자 인증 - 사용자이름 root 암호 test123

Xshell - default 더블 클릭해서 실행 root@localhost ~ #[로그인한 사용자 계정@서버의hostname] ~ 표시는 내가 있는 곳이 Home 디렉토리라는 것

표시는 내가 관리자 권한이 있다는 것

저게 $ 표시면 사용자 권한 이라는 것

ip add 쳐보고 들어가기 ens32 (NIC 한마디로 랜 카드) link/ether (00:0c:29:34:bf:86) 이건 MAC주소 brd ff:ff:ff:ff:ff:ff (브로드캐스트 주소) inet 211.183.3.80/24 (ip / prefix)

vi /etc 최상위 폴더의 설정 파일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2 (if 는 인터페이스를 뜻함 cfg는 설정 파일)


211.183.3.80 /24 인 주소를 211.183.3.100 /24 로 변경하고 싶다~?

NIC 설정 파일 (ifcfg-xxx)을 수정 .100으로 했음

네트워크를 재시작 <네트워크 재시작> : systemctl restart network <네트워크 중지> : systemctl stop network <네트워크 상태 보기> : systemctl status network <네트워크 재부팅시에도 동작> : systemctl enable network <네트워크 재부팅시에도 중지> : systemctl disable network

아이피 바꿨으니까 default 우클릭 설정 들어가서 연결에서 호스트 ip를 211.183.3.100으로 바꿔야 함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