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적라우팅 (static) 11/08 수업참고
R1# R1#conf t R1(config)#router ospf 10 //라우터 명칭설정 R1(config-router)# router-id 1.1.1.1 여기의 라우터야 R1(config-router)#int f0/0 R1(config-if)#ip add 1.1.1.10 255.255.255.0 network [ip add주소] [와일드카드 마스크] [area] R1(config-router)#network 1.1.1.10 0.0.0.0 area 0 (라우터 광고) R2#conft R2(config)# int f0/0 R2(config-if)#ip add 1.1.1.20 255.255.255.0 R2(config-if)#no sh R2(config)# int f0/1 R2(config-if)#ip add 2.2.2.10 255.255.255.0 R2(config-if)#no sh router ospf 10 R2(config-router)#router-id 2.2.2.2 라우터 명칭 여기설정 network [ip add주소] [와일드카드 마스크] [area] R2(config-router)#netwrok 1.1.1.20 0.0.0.0 area0 왼쪽 R2(config-router)#netwrok 2.2.2.10 0.0.0.0 area1 오른쪽**
R3#conft R3(config)# int f0/1 R3(config-if)#ip add 2.2.2.20 255.255.255.0 R3(config-router)#router ospf 10 R3(config-router)#router-id 3.3.3.3 R3(config-router)#network. 2.2.2.20 0.0.0.0 area 1
do sh ip route
0.0.0.0 /0<= 이건 전체 네트워크를 뜻함! 이걸 32번 쪼개면 0.0.0. /32 <= 네트워크 1개, 이건 단일호스트!
1.1.1.10 /24 이건 1.1.1.10 /24안에 속해있으면서 1.1.1.10 이라는 ip를 갖고있는 호스트
R1(config-router)#network 1.1.1.10 0.0.0.0 area 0 network [ip add주소] [서브넷마스크 반전=와일드카드 마스크] [area]
와일드카드 마스크 = 동적라우팅,ACL에 사용, 디테일한 SM
Area?? 정보를 보낼 대상을 한정 반드시 Area 0 (backbone:척추)이 있어야함 Area 0 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야함 정보를 보낼 영역을 구역으로 제한 area해서 오류났을때를 대비하는거라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.
PC1 ip 192.168.0.2 /24 192.168.0.1 ip [pc1할당 아이피] [프리픽스] [게이트웨이:목적지아이피] GateWay = 내가 어딜 외부밖으로 나가던지 일단 이곳을 거쳐야한다
PC1 에서 그냥 ip 입력하고 엔터누르면 명령어 알려줌
오후수업 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Dynamic의 뜻 1)자동 2)유동
DHCP = 호스트에 자동으로 IP정보를 설정하는 프로토콜
[Clinet] ---------(1) Discover------------->> [Server] <<------------(2) Offer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(3) Request------->> (4) Acknowledge Dora 버려~! 이렇게 외우면됨
PC1> ip dhcp 아직은 안나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