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nager node 와 Worker node에 컨테이너를 적절히 배치한다

[카카오 클라우드 스쿨] 2기 도커 토이 프로젝트 - 박성호


<프로젝트 개요>

<aside> 💡 도커 스웜을 이용하여 오케스트레이션을 구성하고 3tier 가 서로 연동이 되게 한다

도커 허브에 3tier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사용을 하고

Grafana k6 을 이용하여 임의로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고 모니터링을 한다

</aside>


3티어 구성

[HAproxy] - WEB(HTTP) - WAS(tom) - Mariadb(db)

HAproxy를 통해

LB (로드 밸런싱) : 순차적으로 트래픽 배분과

HA : 특정 컨테이너에 문제 발생하면 트래픽 배분에서 제외를 한다


작업 환경

**Linux centos:7 (NAT 대역 GW 211.183.3.2 DNS 8.8.8.8)

Manager : 211.183.3.100 / RAM 4G / Disk 40G

Worker1 : 211.183.3.120 / RAM 2G / Disk 40G

Worker2 : 211.183.3.140 / RAM 2G / Disk 40G**
**Linux centos:7 with Grafana K6 사용 (NAT 대역 GW 211.183.3.2 DNS 8.8.8.8)

k6: 211.183.3.33 / RAM 2G / Disk 20G

k62: 211.183.3.34 / RAM 2G / Disk 20G

k63: 211.183.3.35 / RAM 2G / Disk 20G**

작업 디렉토리

**/working 에서 작업
방화벽인 Selinux와 Firewalld 는 종료하고
각 노드들은 Docker 를 위한 기본 패키지 셋팅을 완료한다**

Untitled

**Manager node 에 db(mariadb), Grafana, proxy, visualizer, portainer

Worker node 에 tom(WAS), http(WEB), influxdb 를 구성한다**